REVIEW

영화를 읽다

두 여자의 사랑에도 닦아 없앨 수 없는 차이가 있다

<머물던 자리>

문아영 / 2020-01-23


<머물던 자리>   ▶ GO 퍼플레이
이은경|2017|드라마|한국|26분

<머물던 자리> 스틸컷

지금, 관객이 보고 싶다고 말하는 퀴어영화란 무얼까. 크게 감지되는 기호로는 인물이 성적 지향 혹은 성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겪는 묘사가 적은, 죽거나 이별하지 않고 가급적 행복한 서사를 취하는 부류 등이 있다. 이는 작품성을 논하는 성격보다 퀴어 재현의 폭을 늘려달라는 요구이자 넓혀내겠다는 의지로서 제시된다.

그간 퀴어는 잠재성, 복합성 등의 퀴어를 빗겨 나 성 ‘소수자’로서 다뤄졌다. 그리고 퀴어 로맨스는 단지 특별한 사랑, 보편적 사랑으로 그려지거나 이성애 중심으로 퀴어를 특별 혹은 보편의 위치에 올려놓는 작업이 이어져 왔다.

소설 『알려지지 않은 예술가의 눈물과 자이툰 파스타』(박상영, 문학동네, 2018)의 주인공인 ‘나’는 이러한 재현과 해석에 “동성애자들이 뭐 얼마나 특별한 사랑을 하고 산다는 건지, 동성애자인 나조차도 알 수 없는 일”이라고 말한다.¹ 

그동안 이를 지켜봐 온 관객과 퀴어들에게 영화는 “하나같이 과잉된 감정에 사로잡힌 신파”로 읽혀졌다.² 실망이 누적되는 상황에 이들의 감상은 기대를 품은 비판이 아닌 장르 자체에 대한 피로함으로까지 연결된다.

영화 <머물던 자리>(이은영, 2017)는 소설 「그 여름」(『내게 무해한 사람』, 최은영, 문학동네, 2018)을 연상시킨다. 두 작품 모두 “고교 동창으로 만난 두 여성의 사랑을 파열시키는 차이를 탐구”한다는 데서 연결점을 지닌다.³ 소설에서 이경이 부모에게 대학 학비를 지원받고 용돈 벌이를 하는 동안, 수이는 기술을 배우는 동시에 아르바이트로 보증금과 생활비를 번다. 둘 다 노동을 하며 살아가지만 그것의 의미와 꾸려지는 삶의 조건은 다르다. 두 작품은 인물의 배경이 지방에서 도시로 바뀌고 그들이 비 청소년이 되면서 더욱 증폭됨을 보여준다.

「그 여름」에서 노동의 영향으로 달라진 삶의 모습이 관계를 벌어지게 했다면, <머물던 자리>에서 균열은 자신과 상대의 노동에 대한 의미화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머물던 자리> 스틸컷

<머물던 자리>의 정원(은나영)과 서우(장민지)는 처음에는 교실이란 공간에서 별다른 접점이 없어 보이지만(정원은 조용히 공부하는 ‘모범생’이고, 서우는 공부에 큰 뜻이 없다) 곧 서로에게 느끼는 호감으로 가장 가깝게 연결된다.

선생님이 되고 싶은 정원은 희망 직업을 적어내지 않은 서우에게 어울릴 것 같은 일들을 추천한다. 하지만 “웹툰 작가 어때? 너 그림 많이 그리잖아”라는 정원의 말에 서우는 “그건 그냥 손이 심심하니까”라고 답한다. 이때 서우가 하고 싶은 일은 뚜렷이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는 정원도 ‘왜 선생님이 되고 싶냐’는 서우의 질문에 선뜻 대답하지 못하는데, 이는 당시의 두 사람에게 문제로 떠오르지 않는다. 오히려 교사라는 목표는 서우의 입(서우가 정원을 ‘정원쌤’이라고 부를 때)을 통해 처음으로 긍정되고, 정원을 격려하는 이 말은 졸업 후 떨어져 지내야 했던 둘에게 서로에 대한 애정과 지지를 되새기는 언어로 자리한다.

<머물던 자리> 스틸컷

영화는 성판매를 하는 서우의 일을 서사의 반전으로 소모하지 않는다. 정원 앞에서 콜밴을 타고 일을 나서는 등 서우는 자신의 일에 숨김이 없다. 정작 둘 사이의 공기를 뒤집어 놓는 건 정원이 자기 일에 있어 감춰왔던 불안정성을 드러내는 순간이다.

정원이 서우의 일에 대해 “네가 떳떳할 수 있는 일”을 하라며 떳떳함을 요구할수록 아이러니하게도 그 기준에 흔들리는 건 정원 자신이다.

서우가 정원 곁을 떠나자 그제야 화면은 서우의 시점에서 플래시백 된다. 누구냐고 묻는 마담에게 웃으며 정원을 소개하는 모습이 음소거된 슬로모션으로 제시된다. 곧이어 서우는 마담의 얼굴에 나타난 쓸쓸한 직시를 마주하고는 정원이 서 있던 곳을 급히 돌아본다.

<머물던 자리> 스틸컷

영화는 타인의 시선을 개입시켜 서우가 정원의 눈으로 자신의 노동을 인지하는 경험을 하게 한다. 이를 통해 두 사람에게 노동의 불안정성이 다르게 의미했음을 반추시킨다.

<머물던 자리>는 레즈비언 이야기로서도 퀴어하지만, 노동에 가해지는 불안이나 낙인이 만들어낸 퀴어(queer)함을 다룬다. 이로써 신파적 성격의 소수자 재현에서 벗어나, 중첩되고 복합성을 띠는 영역으로서의 퀴어를 영화 내에서 확장시킨다.

정원은 서우를 사랑했지만 그의 일을 사랑하진 않았다. 끝에 서우는 정원에게 ‘내가’ 미안하다고 말하며 그를 떠난다. 영화는 정원의 입을 통해 분명해진 차이를 사랑으로 문지르지 않는다. 사랑할 수 없음을 인정하고, 그를 사랑하기에 미안해하는 선택을 보여준다. 정원이 각자 서 있는 지대의 불안정함을 걱정했다면, 서우는 지대의 차이가 일으키는 관계의 불안정성을 염려하는 순간이 있었다.

─────────

1. 박상영, 「알려지지 않은 예술가의 눈물과 자이툰 파스타」, 문학동네, 2018, 179쪽.

2. 박상영, 위의 책, 222쪽.

3. 차미령, 「너머의 퀴어」, 『창작과 비평』, 창비, 2017, 66쪽.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블로그 공유 URL 공유

PURZOOMER

찍는페미 소속, 서울여성독립영화제 집행위원, 여성인권영화제 프로그래머, 다큐멘터리 <멋진 하루> 공동연출

[email protected]


관련 영화 보기


REVIEW

퍼플레이 서비스 이용약관
read error
개인정보 수집/이용 약관
read error

Hello, Staff.

 Search

 Newsletter

광고 및 제휴문의